Article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1 August 2018. 125-151
https://doi.org/10.7850/jkso.2018.23.3.125

ABSTRACT


MAIN

  • 1. 서 론

  • 2.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 명칭 현황

  • 3. 국내 학술지에 실린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 현황

  • 4. 결론 및 제언

1. 서 론

보통 해양 연구자들은 자연과학 논문을 작성할 때 연구 대상 해역 등을 알기 쉽게 표기하기 위하여 지도를 사용하며, 이때 그림에는 바다 이름을 영문으로 표기한다. 주변해 또는 우리나라 연안해역1)과 관할해역2)의 바다를 조사·연구하여 논문을 작성해 본 경험이 있는 연구자들이라면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할 때 영문표기 방법을 한번쯤 고민해 본 경험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대한 바다 이름 표기에 관한 기준뿐만 아니라 관련 전문 교육 교재 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동해’ 바다 이름을 두고 일본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우리정부는 관련 학회와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동해(East Sea)’ 표기에 대해 국제사회의 이해를 제고시키고, 이 이름을 확산시키는데 주력해 왔다.

1) 연안관리법(제2조제1항)에 따르면 “연안”이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을 말한다. 이 중 연안해역은 바닷가와 바다 지역을 말하며(제2조제2항), 이 바다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제4호(즉,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에 따른 해안선으로부터 영해(嶺海)의 외측한계(外側限界)까지의 사이를 말한다.

2) 관할해역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해역을 말한다(해양과학조사법 제2조제4항). 가. 「영해 및 접속수역법」에 따른 내수(內水) 및 영해, 나. 「배타적 경제수역법」에 따른 배타적 경제수역(經濟水域), 다. 대한민국이 주권적 권리 및 관할권을 행사하는 대륙붕.

바다는 해저지형이 해수로 채워져 있는 연속된 공간으로서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인접국과 공유하고 있는 바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삼면은 바다와 접해 있기 때문에 국내 연구자들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서쪽에 있는 연안해역을 ‘서해’로, 남쪽에 있는 연안해역을 ‘남해’로 표기하는 데 더 친숙하다. 현재까지 국제사회에서 이들 바다 이름들은 공식적으로 통용되지 않는다(Fig. 1과 Fig. 2). ‘동해’의 남쪽 경계가 국제적으로는 우리가 이른바 ‘남해’라 부르는 해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많지 않다. 이 해역은 국제항로로서 적어도 1732년부터 국제적으로 ‘대한해협(Korea Strait)’으로 불려 왔다(Park et al., 2015).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에 위치한 평균 수심 44 m의 얕은 바다의 이름은 ‘황해(Yellow Sea)’이다. 국내 많은 해양연구들이 황해 전체가 아닌 주로 우리나라 관할해역 내 연안해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 사이에 ‘서해’라는 이름이 관행·관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논문의 경우에 ‘황해’ 대신에 ‘서해’라는 바다 이름을 사용하면 부가적으로 방위를 나타내는 수식어(예를 들어, 황해 동쪽 해역)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논문을 읽는 독자들이 대상해역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1.jpg
Fig. 1.

Names and limits of seas around Korea redrawn from S-23 3rd edition (‘Limits of Oceans and Seas’)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 in 1953: numbers indicate the Yellow Sea (51); Eastern China Sea (50); Japan Sea (52); Seto Naikai or Inland Sea (53); Philippine Sea (56); Sea of Okhotsk (54); and South China Sea (49).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2.jpg
Fig. 2.

Names and limits of seas around Korea contained in S-23 4th edition final draft (‘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 drawn up by IHB in 2002: numbers indicate the Yellow Sea (7.4); Taiwan Strait (7.2); East China Sea (7.3); Seto Naikai (7.5); Tararskiy Proliv [Strait] (7.6.1) and Sea of Okhotsk (7.7). Note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East Sea (7.6) is not named.

Seo and Kim (2014)에 따르면 ‘동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2천년 이상 우리민족이 사용한 토착지명(endonym)3)으로서 ‘북해(North Sea)’처럼 ‘동쪽에 있는 바다’라는 어원적 의미가 오래 전에 사라진 고유명사이다. 따라서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 ‘동해’ 바다 명칭 사용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나아가 동해가 토착지명으로 17세기 후반에 프랑스에 알려진 후 그 나라 지도제작자인 기욤 드릴(Guillaume Delisle)에 의해 처음으로 ‘東海(동해)’의 역어인 유라시아(Eurasia)의 동쪽에 있는 바다 즉, ‘Mer Orientale(동해)’가 사용되었다.

3) 1965년 7월 15일에 설립된 유엔지명표준화회의(The United Nations Conferences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CSGN)는 바다의 명칭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지리 명칭의 표준화 문제를 다루는 유엔 산하의 국제기구로, 이 기구는 당사국간 협의가 불가능할 경우 바다 명칭 병기를 권하고 있으며, 또 외래지명(exonym)보다 토착지명(endonym)을 우선으로 하도록 1977년에 결의(결의안 III/20)하였다. 나아가 바다 명칭을 전문으로 다루는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가 1972년에 두 개 이상의 국가가 공유하고 있는 지형물에 대하여 각각 다른 지명이 사용될 경우 단일 명칭에 합의하도록 노력할 것을 권고(기술결의안 A4.2.6)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는 지금까지 타협을 거부하고 있다.

그 동안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바다 표기에 관한 연구는 ‘동해’ 명칭 표기의 국제적 확산의 일환으로 국제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동해’ 표기에 관한 분석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Kang et al. (2009)은 각 학회지별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시점부터 2006년까지 출간된 24종의 해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472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동해’ 표기현황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Han (2015)은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이용하여 4,192편의 국제학술지에 나타난 ‘동해’ 표기 유형별 특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이들 연구는 국제 학술지를 대상으로 ‘동해’ 표기 분석에 집중되었다. 그 동안 국내 해양 또는 수산 관련 학술지를 대상으로 동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주변 바다와 연안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국내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더라도 일반적으로 지도(map)에는 영어로 바다 이름을 표기하므로 이 점에서 대표적인 국내 학회지에 실린 지도를 분석하면 국내 연구자들의 우리나라 주변 바다와 관할해역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해양 ·수산 전문학회지인 한국해양학회지 ‘바다(The Sea)’와 한국수산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FAS)’에 출간된 한글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자들마다 달리 사용하고 있는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바다 명칭 사용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난 20년(1998-2017년)간 ‘바다(The Sea)’와 ‘KFAS’에 실린 한글 논문들 중 지도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바다 이름표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바다 이름표기 특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주변해와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한 논문 작성 시 바다 이름표기에 관한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2.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 명칭 현황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4)는 항해 안전과 해양환경 보전을 지원하기 위해 1921년에 설립된 국가 간 자문 기술 기구로서 전 세계 해양과 바다 명칭을 관장하고 있다. IHO (즉, 그 당시 IHB)는 1928년에 처음으로 전 세계 해양과 바다의 명칭과 구역을 정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라는 책자(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28)를 발간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주장에 의해 동해가 일본해로 단독 표기된 이 특별간행물은 S-23 (Special Publication No. 23) 제1판으로 부르며, 1937년에 S-23 제2판(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37)에 이어 1953년에 S-23 제3판(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53)이 발행되었다. 이때까지 우리나라가 IHO (즉, IHB)에 미가입한 관계로 동해의 일본해 표기는 S-23 제3판에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86년에 S-23 제4판 ‘대양과 바다의 명칭과 경계(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 초안이 작성되었다(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86). 이러한 과정 중에 1997년 제15차 국제수로 총회(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에서 우리정부는 1972년에 합의된 IHO 기술결의(A.4.2.6)에 근거하여 동해(East Sea)/일본해(Japan Sea) 병기표기를 주장하였다. 이로 인해 1986년 초안을 바탕으로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개정 추진된 S-23 제4판의 최종 초안(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2002)5)에는 동해의 바다 이름이 공란이다(Choo, 2012). 그러나 S-23 제4판의 발간을 승인받기 위해 2002년 8월에 IHO 회원국에 제출되었으나 일본이 병기표기를 반대하여 당시 국제수로사무국 이사회(IHB Directing Committee)에 의해 그해 9월 투표과정이 중단되었다. 따라서 전 세계의 지도 제작자들은 1953년에 개정된 S-23 제3판(Fig. 1)을 표준으로 해양과 바다의 명칭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4) 국제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은 1921년에 창설되었으며, 1970년 9월에 국제수로총회(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 이사회(Directing Committee), 국제수로사무국(IHB)으로 구성된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로 확대‧개편되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초기 IHB(국제수로기구)와 현재의 IHB(국제수로사무국)를 구분하기 위해 한글명을 달리 사용하고 있다.

5) S-23 제4판의 최종 초안에는 전 세계의 해양과 바다를 10개로 구역으로 나눈 후 각 장별로 이들 구역에 속한 해양과 바다에 대한 명칭과 그 경계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담고 있다.

국내에서 통상 사용되는 ‘남해(South Sea)’는 S-23 제3판(Fig. 1) 또는 제4판 최종 초안(Fig. 2)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주장에 의해 ‘일본해’라 불리는 ‘동해(East Sea)’에 포함된 바다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다 이름이 아니다. 이는 S-23 제1판(1928년)부터 제3판(1953년)이 발간될 때까지 우리나라가 일본강점기에 있거나 IHO에 가입할 수 없는 여건에 놓여 있어서, 일본의 일방적 주장에 의해 우리나라 주변 바다 명칭과 경계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이 해역은 수평 공간상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열도 4대 섬 중에서 남쪽 섬인 규슈(Kyushu) 사이의 바다로 동해와 동중국해를 연결하는 좁은 수로로 볼 수 있다(Kim, 2014). 이 바다는 국제항로로서 오래 전부터 국제적으로 대한해협(Korea Strait)이라 불렸다. 예컨대, Park et al. (2015)은 1732년 발간된 Gulliaume Danet의 아시아 전도(L’Asie Dressée sur de Nouveaux Mémoires Assujettis aux Observations)에서 최초로 대한해협이 프랑스어로 ‘Détroit de Corée’라고 지도에 표기된 것을 확인하였다(Fig. 3a). 심지어 일제강점기(1910.8.29.~1945.8.15.)가 끝난 해인 1945년 12월에 National Geographic Magazine에서 발간한 한국과 일본 지도(Japan and Korea map)에서도 이 해역이 ‘Korea Strait’로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3b). 이처럼 대한해협은 오래 전부터 국제적으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규슈 사이의 바다로 통용되어 왔으며, 그 폭은 약 180 km이고, 길이는 약 280 km이며, 수심은 약 50~150 m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해협 내 오른편 가운데에 대마도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일본에선 한국과 대마도 사이를 서수도(西水道), 대마도와 규슈 사이를 동수도(東水道)라 부른다(Kim, 2014). 흥미롭게도 러일전쟁(1904. 02. 08.~1905. 09. 05.) 당시 일본 해군이 작성한 작전도 등에서 대한해협(남해)에 대하여 ‘고려해’ 또는 ‘조선해협’으로 표기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도 1905년까지는 대한해협을 일본이 주장하는 일본해에 포함되지 않은 독립된 바다로 인식했다(Park et al., 201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3.jpg
Fig. 3.

Korea Strait (a) in Frenchman Guillaume Danet’s 1732 map “L’Asie Dressee sur de Nouveaux Memoires Assujetis aux Observations”; (b) in the 1945 Japan and Korea map compiled and drawn in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for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서해’의 공식적인 바다 이름은 ‘황해(Yellow Sea)’이다. ‘황해’의 바다 명칭은 1961년 4월 22일에 당시 국립지리원(현 국토지리정보원)의 중앙지명위원회에서 「표준지명사용에 관한 건」으로 고시(국무원고시 제16호)하였으며(Fig. 4), 1965년에 외무부, 문교부, 법무부 등 정부 관계관회의 이후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서에 ‘황해’를 공식 지명으로 표기하였다. ‘황해’는 중국과도 접해 있는 바다로, 프랑스 지리학자이면서 지도 제작자인 당빌(Jean-Baptiste Bourguignon d’Anville)에 의해 1732년에 제작된 ‘중국령달단전도’가 1737년에 ‘신중국지도첩(NOUBEL ATLAS DE LA CHINE)’으로 발행되면서 표기한 ‘황해(Hoang Hai ou Mer Jaune)6)’ 이름이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이름은 당시 조선팔도 중 하나인 ‘황해(黃海)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2008).

6) 프랑스어 ‘ou Mer Jaune’는 영어로 ‘or Yellow Sea’를 뜻한다. 신중국지도첩에는 총 42매의 지도가 실려 있으며, 그 중 조선왕국전도(Royaume de Coree)는 31번째에 실려 있다. 이 지도는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와 고지도’ 웹사이트(http://khoa.go.kr/user/bbs/detailBbsList.do)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4.jpg
Fig. 4.

Publication of the ‘Yellow Sea’ name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the Official Korea Gazette, April 22, 1961.

정리하면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동해(East Sea), 황해(Yellow Sea), 동중국해(East China Sea)만 존재한다. 즉, 우리가 황해 대신 관행 · 관용적 사용하는 서해(West Sea)와 대한해협 대신 사용하는 남해(South Sea)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다 이름이 아니다.

3. 국내 학술지에 실린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 현황

한국해양학회와 한국수산과학회7)는 각각 대표적인 국내 해양과 수산 관련 학회들로, 한국해양학회는 1966년부터, 한국수산과학회는 1968년부터 학회지를 발간해 오고 있다. 이들 학회들은 누리집(www.ksocean.or.kr와 www.kosfas.or.kr)을 통해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문서파일로 웹서비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선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 이들 국문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해당 웹사이트에서 내려 받아 이들 중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대해 연구 해역이나 조사 위치 등을 표기한 지도 그림에 바다 이름을 표기한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바다 이름 표기 현황을 살펴보았다. 편의상 이 연구에선 한국해양학회에서 발간한 학회지는 ‘The Sea’로, 한국수산과학회에서 발간한 학회지는 ‘KFAS’로 지칭하겠다.

7) 1968년 3월 31일에 ‘한국수산학회지’가 창간되었고, 1981년 12월에 사단법인 ‘한국수산학회’가 설립되었다. 2004월 5월에 ‘한국수산자원학회’와 통합하였고, 2009년 4월에 ‘한국양식학회’와 통합한 후 그 해 5월에 학회명칭을 사단법인 ‘한국수산과학회’로 변경하였다. 이 연구에선 통칭하여 한국수산과학회로 부르겠다.

Table 1에 제시한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두 학회지 모두 논문에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주변 바다 이름을 2개 이상 표기한 형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Type 1은 ‘East Sea’와 ‘Yellow Sea’의 2개의 바다 이름을 사용한 경우로, Type 2는 ‘East Sea’, ‘Yellow Sea’, ‘South Sea’의 3개의 바다 이름을 사용한 경우로, Type 3은 Type 2에서 ‘Yellow Sea’ 대신에 ‘West Sea’가 사용되어 ‘East Sea’, ‘West Sea’, ‘South Sea’의 3개의 바다 이름을 사용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The Sea의 경우 2개 이상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논문은 전체 28편으로 Type 1은 39.3% (11편), Type 2는 21.4% (6편), Type 3은 21.4% (6편)로 이들 3개의 Type이 전체 82.1% (23편)를 차지하였다. KFAS의 경우 2개 이상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총 46편의 논문에서 Type 1은 41.3% (19편), Type 2는 15.2% (7편), Type 3은 28.3% (13편)로 이들 3개의 Type이 전체 84.8% (39편)를 차지하였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names used to label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on geographic map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The Sea) and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FAS) over the period 1998-2017

GroupingNomenclatureReferences
The SeaKFAS
Type 1East Sea & Yellow SeaChung et al. (1999); Chun et al. (1999); Chun et al. (2001); Kim et al. (2007); Woo et al. (2009); Lee et al. (2014); Kim et al. (2015); Shin et al. (2016); Park and Lee (2017) Hong et al. (2000); Kim et al. (2001); Oh and Jeong (2002); Kim et al. (2002); Oh and Choi (2003); Baeck and Huh (2004); Lim and Choi (2005); Moon et al. (2009); Park et al. (2010); Oh (2010); Kim et al. (2011); Hwang et al. (2012); Myoung et al. (2016); Kwun and Kim (2016)
East (Japan) Sea & Yellow SeaYoo et al. (2003)-
East Sea, Yellow Sea & East China SeaKim et al. (2015)-
East (Japan) Sea, Yellow Sea & East China Sea-Hong (2003); Yoo et al. (2004); Lee et al. (2007); Hong (2008); Hong and Kim (2016)
Type 2East Sea, Yellow Sea & South SeaChang and Choi (1998); Kim et al. (2000); Choi et al. (2000); Kim and Kim (2014); Lim and Chang (2016); Park et al. (2017)Oh et al. (2002); Kim and Hong (2008); Lim et al. (2011); Han et al. (2014); Kim et al. (2015)
East Sea, Yellow Sea, South Sea & East China Sea-Lee et al. (2010); Youn et al. (2013)
Type 3East Sea, West Sea & South SeaChang et al. (1999); Seo et al. (2001); Kim et al. (2003); Baek et al. (2012); Kim et al. (2015); Kim et al. (2016) Kim et al. (2003); Kang (2008); Kim et al. (2009); Kang et al. (2009); Kim et al. (2010); Kim et al. (2012); Song et al. (2013); Oh et al. (2013); Park et al. (2013); Oh et al. (2015); Heo et al. (2015); Han et al. (2016); Han et al. (2017)
OtherEast Sea & West SeaPark et al. (2009)Park et al. (2011)
East Sea & South SeaLee et al. (2013)Oh et al. (2010)
East Sea & East China SeaJang et al. (2007); Jang et al. (2011)-
Yellow Sea & South Sea-Kim et al. (2017)
Yellow Sea & East China SeaShin et al. (2000) Kang et al. (2003); Baik et al. (2004); Lim et al. (2014)
Yellow Sea, South Sea & East China Sea-Kim et al. (2011)

학회지별로 이들 각 Type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한 결과를 Table 2와 Table 3에 각각 제시하였다. Type 1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East Sea’와 ‘Yellow Sea’의 2개 바다 명칭을 함께 지도에 표기한 논문으로 The Sea의 경우 총 11편이 있었으며, 이 중 한 편은 동해 이름 표기에 있어서 ‘East Sea’와 ‘Japan Sea’을 병기하였으며, 다른 한 편의 논문은 ‘East Sea’, ‘Yellow Sea’, ‘East China Sea’의 3개 바다 이름을 지도에 함께 표기하였으나 ‘East Sea’의 해역은 대한해협을 포함하지 않고, 대한해협은 ‘East China Sea’에 포함되어 있었다. KFAS의 경우 총 19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East Sea’와 ‘Yellow Sea’ 2개 바다 이름을 함께 표기하였으며, 이 중 5편은 ‘East China Sea’도 함께 표기하였고 또한 ‘East Sea’에 ‘Japan Sea’를 병기하였다.

Table 2. Nomenclature of each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geographic map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The Sea) over the period 1998-2017

Sea name (total)NotationReferencesNumber of papers
East Sea (22)East SeaWoo et al. (1997); Shin and Yi (1998); Song et al. (1999); Kim et al. (2004); Kim et al. (2007); Chung et al. (2010); Jeon et al. (2012); Park et al. (2013); Choi et al. (2015);Yang (1997); Kang and Koh (1999); Lee et al. (2003); Kang et al. (2007); Lee et al. (2009); Choi et al. (2012); Kim et al. (2012); Choi et al. (2014); Park et al. (2017)18
East Sea (Japan Sea or Sea of Japan)Suh et al. (1998); Choi et al. (2007);Lee et al. (2004); Choi et al. (2009)4
Yellow Sea (42)Yellow SeaKoh et al. (1997); Park et al. (1998); Shin et al. (1998); Kwon and Lee (1999); Kim et al. (1999); Ryu et al. (1999); Kim et al. (2000); Lee et al. (2001); Park et al. (2002); Yoo et al. (2002); Lim et al. (2002); Lee et al. (2003); Ryu et al. (2003); Yoo et al. (2004); Kim et al. (2006); Lee et al. (2007); Kang et al. (2007); Ryu et al. (2009); Lee et al. (2012); Kim et al. (2014); Cho and Cho (2015);Park et al. (1997); Choi et al. (1998); Chang and Lee (1999); Lee et al. (1999); Choi et al. (1999); Hyun et al. (1999); Park et al. (2000); Hong et al. (2002); Yoo et al. (2002); Jeong et al. (2002); Ryu et al. (2002); Kim et al. (2003); Yoo et al. (2003); Kim et al. (2005); Lee et al. (2006); Yi et al. (2007); Park et al. (2008); Kwon et al. (2011); Yoo et al. (2014); Lee et al. (2014); Cho and Cho (2017)42
West Sea---
South Sea (3)South SeaChoi (2001); Lee et al. (2016)Bae et al. (2014); 3
East China Sea (2)East China SeaYang and Lee (1999);Kim et al. (2013)2

Table 3. Nomenclature of each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geographic maps in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FAS) over the period 1998-2017

Sea name (total)NotationReferencesNumber of papers
East Sea (29)East SeaChoi and Arakawa (2001); Kim et al. (2003); Yoo et al. (2008); Chun et al. (2009); Kim (2010); Shin et al. (2011); Hwang et al. (2012); Choi et al. (2013); Lee et al. (2013); Kang et al. (2014); Shon et al. (2014); Kim et al. (2016); Yoon et al. (2017); Lee et al. (2017);Kwon et al. (2002); Kwon et al. (2005); Lee et al. (2009); Kim et al. (2010); Seo et al. (2010); Yoon et al. (2012); Yang et al. (2013); Kang et al. (2013); Cha et al. (2014); Seo et al. (2014); Sohn et al. (2014); Lee (2016); Yang et al. (2017); Han et al. (2017)28
East Sea (Sea of Japan)Lee et al. (2000)1
Yellow Sea (12)Yellow SeaHwan and Huh (1998); Park et al. (2004); Yeon et al. (2008); Seo & Hong (2010); Jung et al. (2013); Lee et al. (2014)Oh et al. (2003); Kim et al. (2006); Seo & Hong (2010); Kim et al. (2014); Kim et al. (2015); 11
West SeaJeong et al. (2014)1
South Sea (0)South Sea0
East China Sea (3)East China SeaLee et al. (2003); Kim et al. (2016)Ji et al. (2014); 3

두 번째로, Type 2는 Type 1에 ‘South Sea’가 추가적으로 표기된 형태로, The Sea의 경우 ‘East Sea’, ‘Yellow Sea’, ‘South Sea’의 3개 바다 이름을 지도에 함께 표기한 논문은 총 6편 있었다. KFAS의 경우 총 7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이들 3개의 바다 이름을 사용하였다. 이 중 2편은 이들 3개의 바다 이름에 ‘East China Sea’를 지도에 추가로 표기하였다.

세 번째로, Type 3은 Type 2에 ‘Yellow Sea’ 대신에 ‘West Sea’를 사용한 형태로, The Sea의 경우, ‘East Sea’, ‘West Sea’, ‘South Sea’의 3개 바다 이름을 함께 표기한 논문이 총 6편 있었다. KFAS의 경우 총 13편의 논문에서 이들 3개의 바다 이름을 사용하였다.

기타로 ‘East Sea’와 ‘West Sea’를 지도에 표기한 경우, ‘East Sea’와 ‘South Sea’를 지도에 표기한 경우가 두 학회지 모두 각각 1편씩 있었다. The Sea에만 동일 주저자에 의해 ‘East Sea’와 ‘East China Sea’의 2개 바다 이름을 지도에 표기한 논문이 2편 있었다. KFAS에만 ‘Yellow Sea’와 ‘South Sea’를 지도에 표기한 논문과 ‘Yellow Sea’, ‘South Sea’, ‘East China Sea’를 지도에 표기한 논문이 각각 1편씩 있었다. ‘Yellow Sea’와 ‘East China Sea’의 두 바다 이름을 표기한 논문이 The Sea에서는 1편이, KFAS에서는 3편이 있었다.

정리하면, 두 학회지에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을 2개 이상 지도에 표기한 논문 중 ‘East Sea’ (병기 포함)를 지도에 함께 표기한 경우는 The Sea(총 28편 중 26편)가 92.9%를 차지하였으며, KFAS (총 46편 중 41편)는 89.1%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Yellow Sea’ 대신에 ‘West Sea’를 지도에 함께 표기한 논문은 The Sea는 25% (총 28편 중 7편)를, KFAS는 30.4% (총 46편 중 14편)를 차지하였다. ‘South Sea’를 함께 표기한 논문의 경우는 The Sea가 46.4% (총 28편 중 13편)를 차지하였으며, KFAS는 50% (총 46편 중 23편)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현재 IHO의 S-23 제3판에서는 ‘East Sea’의 경계가 ‘South Sea’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내 연구자들은 별도의 바다 이름으로 표기하고 있다. 또한 ‘Yellow Sea’가 공식적인 바다 명칭임에도 불구하고 25%이상 논문에서는 여전히 ‘West Sea’로 지도에 표기하고 있다.

이어서, 지도에 우리나라 주변 여러 바다가 아닌 개별 바다에 대한 바다 이름을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의 수는 다음과 같다. The Sea의 경우 ‘East Sea’ 바다 명칭만을 표기한 논문은 총 22편이었으며, 그 중 18편은 ‘East Sea’를 단독으로 표기하였으며, 4편은 ‘East Sea’와 ‘Japan Sea (또는 Sea of Japan)’를 병기하였다. KFAS는 ‘East Sea’ 바다 명칭만을 표기한 논문은 총 29편이었으며, 그 중 28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East Sea’를 단독으로 표기하였으며, 한 편은 ‘East Sea’에 ‘Sea of Japan’을 병기하였다. 또한 ‘Yellow Sea’ 바다 명칭만을 단독으로 지도에 표기한 논문은 The Sea의 경우 총 42편이었으며, ‘West Sea’ 명칭만을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은 한 편도 없었다. KFAS의 경우 11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Yellow Sea’를 단독으로 표기하였으며, 1편의 논문에서 ‘West Sea’를 단독으로 지도에 표기하였다. The Sea의 경우 ‘South Sea’ 바다 이름만을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은 총 3편이 있었으나 KFAS에서는 한 편도 없었다. ‘East China Sea’를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은 The Sea는 2편이, KFAS는 3편이 있었다.

이처럼 논문에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아닌 개별 바다를 지도에 제시한 경우, 모든 논문에서 동해를 ‘East Sea’로 표기하였으며, 대부분의 경우 ‘Yellow Sea’가 사용되었다. 반면에 ‘West Sea’를 단독으로 지도에 표기한 논문은 두 학회지를 통틀어 1편 있었으며, ‘South Sea’를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도 전체에서 3편 밖에 없었다. ‘East China Sea’ 만을 지도에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은 총 5편으로 다른 바다 명칭을 사용한 논문에 비해 많지 않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대한해협은 국제적으로 독립된 바다로 인식되어 오다가 1905년 이후 일본이 주장하는 일본해에 포함되었다(Park et al., 2015). 그러나 국내 연구자들은 보통 이 해역을 ‘Korea Strait (대한해협)’ 대신에 ‘South Sea (남해)’로 논문의 지도에 표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Korea Strait’가 두 학회지 논문에 실린 지도에서 어떻게 표기되고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The Sea의 경우, 총 10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Korea Strait’를 표기하고 있었다. 이 중 5편의 논문 지도에서는 ‘Korea Strait’ 표기 위치가 대마도 오른쪽 위인 북동쪽에 표기되어 있었으며, 3편의 논문에서는 부산과 대마도 사이에 표기되어 있었다. 1편의 논문에서만 남해안과 규슈 해안 사이에 ‘Korea Strait’가 표기되었고, 일본 연구자가 참여한 다른 1편의 논문에서는 표기 위치가 비슷했지만 이 해역을 ‘Tsushima Strait’로 표기하였다. KFAS에서는 총 11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Korea Strait’를 표기하고 있었다. 이 중 7편은 남해안과 규슈 해안 사이에 표기되어 있었으며, 이 7편의 논문 중 1편의 논문 지도에서는 ‘Korea Strait’에 ‘Tsushima Strait’를 병기하고 있었다. 2편의 논문 지도에서는 대마도 오른쪽 위인 북동쪽에 ‘Korea Strait’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Korea Strait’가 부산과 대마도 사이에 표기된 경우와 대마도와 규슈 사이에 표기된 경우가 각각 1편씩 있었다. 국제적으로 ‘Korea Strait’가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규슈 해안 사이의 바다로 통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11편의 두 학회지 논문에서 대마도 북동쪽이나 부산과 대마도 사이에 표기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 연구 대상해역이 우리나라 관할해역 내에 국한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Table 4. Nomenclature of Korea Strait from geographic map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The Sea) and th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KFAS) over the period 1998-2017

NomenclatureRegionReferences
The SeaKFAS
Korea Strait in northeast of TsushimaChoi et al. (1997); Kim et al. (2000); Rho et al. (2007); Chung et al. (2000); Kim et al. (2004)Lee and Kim (2016); Lee and Lee (2017)
Korea Straitbetween Busan and TsushimaByun et al. (1999); Kim et al. (2009); Lee et al. (2004)Kwoun and Cho (2002)
Korea Strait between Tsushima and Kyushu-Choi (1998)
Korea Strait between south coast of Korea and KyushuHan and Choi (2007) Kim et al. (2002); Lee et al. (2003); Jung et al. (2013); Kim et al. (2003); Hwang et al. (2012); Hong and Kim (2016)
Korea/Tsushima Straitbetween south coast of Korea and Kyushu-Kim et al. (2002)
Tsushima Straitbetween south coast of Korea and KyushuShin et al. (2000)-

끝으로 두 학회지 전체 논문에 걸쳐 지도에 ‘East Sea’와 ‘East Sea/Japan Sea (Sea of Japan)’의 표기 비율, ‘Yellow Sea’와 ‘West Sea’의 표기 비율, ‘Korea Strait’와 ‘Korea/Tsushima Strait’의 표기 비율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지도에 ‘East Sea’와 ‘East Sea’에 ‘Japan Sea’ 또는 ‘Sea of Japan’을 병기한 논문 간 표기 비율은 각각 91.1% (113편)와 8.9% (11편)로 ‘East Sea’ 표기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각 학회지별로 살펴보면, The Sea의 경우 지도에 ‘East Sea’ 바다 이름이 표기된 논문은 총 49편있었으며, 이 중 5편(10.2%)이 ‘East Sea’에 ‘Japan Sea’ 또는 ‘Sea of Japan’을 병기하였다. KFAS의 경우 총 75편 논문에서 지도에 ‘East Sea’를 표기하였으며, 그 중 6편(8%)이 ‘East Sea’에 ‘Japan Sea’ 또는 ‘Sea of Japan’을 병기하였다. 두 번째로 전체 논문 중 지도에 ‘Yellow Sea’와 ‘West Sea’ 간의 표기 비율은 각각 81.5% (97편)와 18.5% (22편)로 ‘Yellow Sea’의 표기 비율이 더 높았다. 학회지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The Sea의 경우 총 60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Yellow Sea’를 표기하였으며, 반면에 ‘West Sea’를 표기한 논문은 총 7편으로 이 두 바다 이름의 표기 비율은 각각 89.6%와 10.4%이었다. KFAS의 경우 지도에 ‘Yellow Sea’를 표기한 논문은 총 37편 있었으며, ‘West Sea’를 표기한 논문은 총 15편으로, 이 두 바다 이름의 표기 비율은 각각 71.2%와 28.8%이었다. 마지막으로 ‘Korea Strait’와 ‘Korea Strait’에 ‘Tsushima Strait’를 병기한 논문의 비율은 각각 95% (19편)와 5% (1편)로 ‘Korea Strait’를 지도에 표기한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The Sea에서는 ‘Korea Strait’를 표기한 논문이 총 9편 있었으며, ‘Korea Strait’에 ‘Tsushima Strait’를 병기한 논문은 없었지만, 대신에 ‘Tsushima Strait’를 지도에 단독으로 표기한 논문이 1편 있었다. KFAS의 경우엔 총 10편의 논문에서 지도에 ‘Korea Strait’를 단독으로 표기하였으며, 1편의 논문에서만 병기하여 ‘Korea Strait’와 ‘Korea/Tsushima Strait’ 간의 표기 비율은 각각 90.9%와 9.1%이었다.

4. 결론 및 제언

바다는 해저지형이 해수로 채워져 있는 연속된 공간으로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인접국인 중국, 일본, 러시아와 동해, 황해, 동중국해를 공유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 학계에서부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 사용과 아울러 이 해역에 대한 활발한 연구논문 발표로 최근 일본이 사용하기를 주장하는 ‘일본해’가 아닌 오랫동안 사용되어오던 토착지명 ‘동해’ 이름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해양과학 연구성과 발표를 통해 동해 바다 이름을 국제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국내외 학술지에 ‘동해(East Sea)’ 이름 사용뿐만 아니라 ‘황해(Yellow Sea)’와 ‘대한해협(Korea Strait)’에 대한 명칭 사용이 국내 학술지에도 정착될 수 있도록 학계의 일관된 바다 이름표기 노력이 필요하다. 동해의 경우 극히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동해에 일본해를 병기해 표기한 경우가 있었으나, 국내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학회지에는 기본적으로 동해(East Sea)만을 사용할 것을 제안해 본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정부가 국제적으로 동해/일본해(East Sea/Japan Sea) 병기를 추진하고 있지만 ‘동해(East Sea)’는 2천 년 전부터 사용되어 고유명사가 된 우리의 토착지명이기 때문이다.

한편 지금까지 동해 명칭 문제로 수십 년 동안 일본과 대립해 오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적으로 남해를 포함하고 있는 현 동해 경계 재설정에 관해 논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이 문제는 동해 명칭에 비해 부차적인 문제이므로 일본과의 동해 명칭 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이상 수년 내에 공론화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해협(Korea Strait)’은 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Korea Strait’은 오래 전부터 국제항로로서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규슈 사이의 바다로 잘 알려져 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이지만, IHO의 S-23에 등재되어 있지 않는 해양지명8)이다. 대한해협의 범위를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규슈 사이의 바다로 규정하고 사용하면, ‘동해’와 ‘대한해협’이 서로 구분된 바다라는 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

8) 해양지명이란 자연적으로 형성된 해양‧해협‧만(灣)‧포(浦) 및 수로 등의 이름과 초(礁)‧퇴(堆)‧해저협곡‧해저분지‧해저산‧해저산맥‧해령(海嶺)‧해구(海溝) 등 해저지형의 이름을 말한다(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2조제17항). 국제수로기구(IHO)의 권유에 따라 2002년에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해양지명위원회’가 발족되었다. 해양지명위원회는 국내 해양지명 표준화 작업뿐만 아니라 국제수로기구 등에 해양지명(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을 등록하는 작업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외국의 지도(Fig. 3) 또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대한민국전도(Fig. 5)에서처럼 지도에 ‘Korea Strait’를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규슈 중앙에 표기하는 것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표기함으로써 연구자들 사이에 대한해협이 부산과 대마도 사이의 해협으로 생각할 여지를 없앨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그마한 노력들이 차곡차곡 쌓이게 되면 과거 일본의 주장에 의해 IHO의 S-23 제3판에 반영된 일본해의 명칭과 범위가 아닌 동해와 대한해협의 명칭과 범위가 시나브로 국제사회에 정착될 것이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5.jpg
Fig. 5.

A complete map of Korea published by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in 2013.

한편, 우리나라 연안해역 더 나아가 관할해역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경우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지리적 방위에 근거한 바다 명칭을 사용하면 연구·조사 해역 등을 설명하는데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육지에서 가까운 연안 바다 명칭을 실제 그 해역이 속한 바다 이름과 구분 없이 현재처럼 상대적인 방위를 기준으로 한 바다 명칭(서해, 남해)을 사용할 경우에 고유명사인 ‘동해’ 바다 명칭의 국제적 확산에 대한 논리적 걸림돌로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고유명사처럼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기준의 지리적 방위에 근거한 바다 이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연안해역 더 넓게는 관할해역의 경우 현재 사용되는 상대적 방위의 바다 이름 대신에 바다 이름 앞에 방위의 기준이 되는 ‘한국’과 ‘연안 바다’을 붙여서 표기할 것을 제안해 본다. 즉, 서해(West Sea) 대신에 한국 서쪽 연안 바다(Coastal Sea off West Coast of Korea), 남해(South Sea) 대신에 한국 남쪽 연안 바다(Coastal Sea off South Coast of Korea), 동해(East Sea) 대신에 한국 동쪽 연안 바다(Coastal Sea off East Coast of Korea)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영문표현으로 ‘West Korea Coastal Zone’, ‘South Coastal Zone of Korea’, ‘East Korea Coastal Zone’으로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연안해역 전체를 표현할 때는 한국 연안 바다(Korean Coastal Sea 또는 Coastal Zone of Korea)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해역이 특정 지자체 인근 해역에 속해 있을 경우에 방위의 기준이 되는 ‘한국’ 대신에 광역지방자치단체 이름이나 기초자치단체 이름을 사용하여 표기하면 위치 파악이 더 용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충남 연안 바다(Coastal Sea off Chungnam), 목포 연안 바다(Coastal Sea off Mokpo) 등으로 부를 수 있다. 국내 연구자들이 이렇게 우리나라 주변 바다와 연안해역의 이름을 구분하여 부름으로써 동해가 2천년 이상 우리민족과 함께한 토착지명으로서 유라시아의 동쪽 바다라는 우리측 주장을 강화시켜 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Choi et al. (2012)가 해양지명을 이용하여 동해 표층해류 설명방법을 제시한 것처럼 지도에 연안 바다의 이름을 쓸 때는 그 해역을 나타내는 해양지명(해상지명과 해저지명)을 찾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해상지명을 예로 들면, 한국만, 여수해만, 맹골수도, 견내량해협, 경기만, 동한만, 서한만 등이 있다. 만약 연구해역에 해상지명이 없을 경우에는 해저지명을 활용하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울릉분지, 전라사퇴지형구, 안용복해산, 후포퇴, 왕돌초, 한국대지 등이 있다. 이들 해양지명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한 ‘우리바다 우리해양지명(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5)’ 책자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 책자의 전자파일은 국립해양조사원 웹페이지 ‘해양지명’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활용하거나, IHO-IOC GEBCO (General Bathymetric Chart of the Oceans)의 ‘국제해저지명집(Gazetteer of Undersea Feature Names)’ 웹사이트(www.gebco.net)를 이용하면 된다. 이와 더불어, Fig. 6처럼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과 함께 바다 전체가 나오도록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Fig. 5처럼 동해 일부만 지도에 나타낼 경우 동해가 우리나라 동쪽 해역에 국한된 것으로 오해의 여지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해역이 연안해역 또는 관할해역 내에 위치하여 자세한 지도가 필요할 경우에는 앞서 제안한 연안해역 이름과 함께 연구해역 부근의 해양지명을 활용하여 표기한 지도를 함께 사용할 것을 제안해 본다. 이런 식으로 바다 지도와 바다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과 지리적 방위에 근거한 연안해역의 바다 이름이 자연스럽게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o/2018-023-03/N0230230302/images/figure_KSO_23_03_02_F6.jpg
Fig. 6.

Names of the marginal sea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끝으로 이 연구가 국내 해양 · 수산관련 학회 차원에서 연구자들이 학술대회 초록이나 학회지에 논문을 투고할 때 주변해와 더불어 우리나라 연안해역 더 나아가 관할해역의 바다 이름 표기에 관한 기본 안 마련을 위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cknowledgements

원고를 꼼꼼히 검토해주시고 좋은 의견을 주신 두 분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립니다. 이 논문 작성에 있어서 그림과 자료 수집에 큰 도움을 준 국립해양조사원 김효원 연구원과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김승아 연구원에게 심심한 고마움을 전합니다. 또한 원고 초안을 꼼꼼히 검토해 주신 국립해양조사원 유학렬 주무관과 원고 작성 과정에서 대한해협에 관해 유익한 토의를 해주신 한국해양조사협회 수로기술연구소 심문보 소장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References

1
Choi, B.-J., D.-S. Byun and K.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225-242.
2
Choo, S.J., 2012. Recent discussions on the naming of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pics of the geographical toponym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 870-883.
3
Han, J.Y., 2015. An informetric analysis on the notation of East Sea recorded in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 23-41.
4
Han, S.B., 2008. A history of maritime survey on the water around Dokdo by 1970.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November 6-7, 2008, Ansan, Korea, 39-42.
5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28.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1st Edition.
6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37.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2nd Edition.
7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53.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3rd Edition. https://www.iho.int/iho_pubs/standard/S-23/S-23_Ed3_1953_EN.pdf.
8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1986.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Draft 4th Edition. https://www.iho.int/mtg_docs/com_wg/S-23WG/S-23WG_Misc/Draft_1986/S-23_Draft_1986_Headings.pdf
9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2002. Limits of Oceans and Seas, Special Publication No. 23, 4th Edition, Final draft. https://www.iho.int/mtg_docs/com_wg/S-23WG/S-23WG_Misc/Draft_2002/ Draft_2002.htm.
10
Kang, D.-J., B.-H. Lim, S.Y. Chang, Y.-B. Kim and K.-R. Kim, 2009. Status of naming the East Sea in international scientific journals. Ocean and Polar Research 31: 133-156.
11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5. Oceans and Marine Geographical Names, 543 pp. http://www.khoa.go.kr/kcom/cnt/selectContentsPage.do?cntId=31401010.
12
Kim, H.Y., 2014. A convergence perspective on the Korea Strait – Border, passage and space.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44: 37-66.
13
Park, K., E.M. Chang and M.B. Shim, 2015.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Korea Strait. The Journal of the Hydrographic Society of Korea, 4: 11-17.
14
Seo, J.C. and I.H. Kim, 2014. The truth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Gimmyong Publishers, 354 pp.

부록: 지도 분석에 사용된 논문 목록(Tables 1-4)

15
Baeck, G.W. and S.H. Huh, 2004. Age and Growth of Three-lined Tonguefish (Cynoglossus abbreviatus) (Soleidae; Teleostei). Korean J Fish Aquat Sci, 37: 51-56.
16
Baek, S.-H., I.-S. Lee, H.-S. Kim, M.K. Choi, D.-W. Hwang, S.-Y. Kim and H.-G. Choi, 2012. Distribu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POPs) in Sediment and Organism Collected from Various Culturing Grounds,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262-269.
17
Bae, S.W., D.S. Kim, H.-W. Choi, Y.O. Kim, C.H. Moon and S.H. Baek, 2014. The Influence of Nutrients Addi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Between Spring and Summer Season in Gwangyang Bay,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53-65.
18
Baik, C.I., K.D. Cho, C.I. Lee and K.H. Choi, 2004. Oceanographic Conditions of Eishing Ground of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37: 232-248.
19
Byun, S.-K., B.-C. Kim, B.K. Choi, A. Kaneko and N. Gohad, 1999. Current Speed Measurements by Using Ocean Acoustic Tomography of Reciprocal Sound Transmission in the Southern Water of Koje Island.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61-169.
20
Cha, H.K., J.H. Yang, S.I. Lee and S.C. Yoon, 2014.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hionoecetes crabs (C. opilio and C.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637-644.
21
Chang, J.H., Y.S. Kim and Y.-G. Cho, 1999. Tidal-Flat Sedimentation in a Semienclosed Bay with Erosional Shorelines Hampyong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17-47.
22
Chang J.H. and J.-Y. Choi, 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149-157.
23
Chang, S.-K. and H.Y. Lee, 1999. Foraminiferal Research in the Korean Yellow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383-389.
24
Cho, H.-C. and Y.-G. Cho, 2015.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Doam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 159-168.
25
Cho, H.-C. and Y.-G. Cho, 2017. Long-term Variation and Flux of Organic Carbon in the Human-disturbed Yeongsan River,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2: 187-198.
26
Choi, D.L., J.-K. Oh, C.-W. Lee and H.-J. Woo, 1997. High-Resolution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 Innershel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8-13.
27
Choi, D.H., B.-M. Gim, T.S. Choi, J.-S. Lee, J.H. Noh, Y.-G. Park and S.-G. Kang, 2014.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diments and Overlying Waters of the South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147-154.
28
Choi, D.H., S.M. An, Y.R. Choi, H.S. Roh and J.H. Noh, 2015. Seasonal Variation of Picocyano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awaters Around Dokdo,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 192-198.
29
Choi, H.-Y., 2001. Oceanographic Condition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l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Disappearance of Red-T.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 49-62.
30
Choi, H.-Y., S.-H. Lee and I.-S. Oh, 1998.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hermal Front in the Mid -eastern Coastal Area of the Yellow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1-8.
31
Choi, H.-Y., S.-H. Lee and K.-W. You, 1999. Salinity Distribution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during the High Discharge from the Keum River Wei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9.
32
Choi, M.S., C.R. Lim, S.-G. Kang, C.-B. Lee and C.-H. Koh, 2000. Trace Metals (Mn, Zn, Cd, Pb) in the Shell of the Marine Gastropod, Littorina brevicula on Coastal Area,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119-130.
33
Choi, M.-S., J.-S. Uoo and D.-S. Kim, 2007. Sources Identification of Anthropogenic Pb in Ulleung Basin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East/Japan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315-327.
34
Choi, S.J., and H. Arakawa, 2001.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of Hooks and Underwater Illumination in Squid Jigging Boat. Korean J Fish Aquat Sci, 34: 624-631.
35
Choi, Y.C., 1998. Analysis of Oceanographic Condition in the Cheju Strait, the Korea Strait and the Mixed water area Between the two Regions in Early June in 1995. Korean J Fish Aquat Sci, 31: 296-301.
36
Choi, Y.-J., D.-S. Kim, T.-H. Lee and C.-B. Lee, 2009. Estimate of Manganese and Iron Oxide Reduction Rates in Slope and Basin Sediments of Ulleung Basi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27-133.
37
Choi, Y.M., B.S. Yoon, H.S. Kim, J.H. Park, K.Y. Park, J.B. Lee, J.H. Yang and M.H. Sohn, 2013.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843-850.
38
Chun Y.Y., S.I. Lee, S.C. Yoon, H.K. Cha and J.B. Kim, 2009. Molting and Growth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in the East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2:380-386.
39
Chung, C.S., G.H. Hong, S.H. Kim, J.K. Park, Y.I. Kim, D.S. Moon, K.I. Chang, S.Y. Nam and Y.C. Park, 2000. Biogeochemical Fluxes Through the Cheju Strait.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208-215.
40
Chun, J.-H., E.-H. Lee, Y.-K. Lee, D.-H. Shin, S. Huh, S.-R. Kim, B.-H. Cheong and S.-J. H., 2001. Origin of Sandstone Fragments Within Core Sediments Obtained from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 126-134.
41
Chun, J.-H., S. Huh, S.-J. Han, D.-H. Shin, D.-K. Cheong, K.-H. Hong and S. H. Kim, 1999. Sediment Characteristics of Waste Disposal Sites in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the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312-322.
42
Chung, C.S., S.H. Kim, D.J. Kang, Y.C. Park, C.H. Yoon and G.H. Hong, 1999. A Study on the Evolution of Eutrophication in Masan Bay by Analyses of Pigment Derivatives from a Sediment Colum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01-106.
43
Chung, M.H., S.H. Youn and W.D. Yoon, 2010. Attaching Nature and Community Variation of Epiphytic Diatoms on Leaf of Zostera spp.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5: 184-191.
44
Han, J.H. and M.S. Choi, 2007. Estimation of 210Pb-derived Sedimentation Rat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273-279.
45
Han, S.H., M.J. Kim, J.S. Kim and C.B. Song, 2017.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monthly Abundance of Fish Egg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 Jejudo Island. Korean J Fish Aquat Sci, 50: 829-836.
46
Han, S.J., J.G. Jang, Y.H. Hwang, M.H. Son and H.G. Choi, 2017.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Intertidal Zone around Shingori Nuclear Power Plant,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319-325.
47
Han, S.J., D.V. Jeon, J.R. Lee, Y.J. Na, S.K. Park and H.G. Choi, 2016.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wanmaedo and Yeongsa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053-060.
48
Han, S.J., J.H. Lee, D.V. Jeon, J.C. Oh, B.Y. Kim, S.K. Park, H.G. Choi and K.W. Nam, 2014. Seasonal Variation in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around the Byeonsan Peninsul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274-282.
49
Heo, J.S., S.J. Han, H.G. Choi and K.W. Nam, 2015. A Study on Long-term Monitoring of Seaweed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Hakampo,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969-976.
50
Hong, C.H., 2003.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tudy of Coastal Upwelling in the Northern Japanese Coastal Region with the Passage of Typhoon Oliwa. Korean J Fish Aquat Sci, 36: 723-734.
51
Hong, C.H., 2008. A Numerical Study of Sea Surface Cooling with the Passage of Typhoon Abby in the Northwestern Pacific. Korean J Fish Aquat Sci, 41: 518-524.PMC
52
Hong, C.H., and J.P. Kim, 2016. Effect of Typhoons on Contaminants Released from the Southern Sea around Fukushima of Japan. Korean J Fish Aquat Sci, 49: 234-240.
10.5657/KFAS.2016.0234
53
Hong, D.-G., M.S. Choi, J.-H. Han, J.-H. Choi and C.-S. Cheong, 2002.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IRSL) Dating of 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1-7.
54
Hong, J.S., I.S. Seo, C.G. Lee, S.P. Yoon and R.H. Jung, 2000. An Ecological Feature of Benthic Macrofauna during Summer 1997 in Namdaechon Estuary, Yangyang,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3: 230-237.
55
Hwang, H.B. and T.W. Lee,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in 2008. Korean J Fish Aquat Sci, 44: 173-178.
10.5657/kfas.2011.44.2.173
56
Hwang, K.S., I.S. Choi and S.G. Jung, 2012.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inhae Bay,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Korean J Fish Aquat Sci, 45: 499-506.
10.5657/KFAS.2012.0499
57
Hwang, K.S., S.K. Kang, T.Y. Oh, K.H. Choi and D.W. Lee, 2012. Change in the Fishing Grou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ndanc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173-179.
10.5657/KFAS.2012.0173
58
Hyun, J.-H., K.H. Chung, Y.C. Park and J.K. Choi, 1999. Variations in Ammonium Removal Rate with Tidal State in the Macrotidal Han River Estuary Potential Role of Nitrificatio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33-39.
59
Jang, S.-T., J.H. Lee, C.-H. Kim, C.J. Jang and Y.S. Jang, 2011. Movement of Cold Water Mas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Summe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6: 1-13.
60
Jang, S.-T, J.H. Lee and C.S. Hong, 2007. Mixing of Sea Water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390-399.
61
Jeon, H.D., Rho, T.K. and T.S. Lee, 2012. Spatial Distribution of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 and Their Relation to Carbon Species in the Euphotic Layer of the Norther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33-44.
62
Jeong, G.S., B.Y. Cha, Y.J. Im, D.H. Kwon, H.J. Hwang and H.S. Jo, 2014.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in the West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264-273.
10.5657/KFAS.2014.0264
63
Jeong, H.J., Y.D. Yoo and J.S. Kim, 2002.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2. Temporal variations in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140-147.
64
Jeong, Y.H. and J.S. Yang, 2016. Re-evaluation of Ammonium Data in Seawater an Unique Short-Term Index.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 58-66.
65
Ji, H.S., J.H. Choi, K.H. Choi, S.C. Yoon, D.W. Lee and J.K. Kim, 2014.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Distribution of Ophisurus macrorhyncho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Leptocephalus Collected from Southeastern Waters of Jeju Island. Korean J Fish Aquat Sci, 47: 888-894.
10.5657/KFAS.2014.0888
66
Jung, S.G., S.M. Ha and H.N. Na, 2013. Multi-decadal Changes in Fish Communities Jeju Isl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Korean J Fish Aquat Sci, 46: 186-194.
10.5657/KFAS.2013.0186
67
Kang, C.-K., E.J. Choy, H.S. Song, H.J. Park, I.-S. Soe, Q. Jo and K.-S. Lee, 2007. Isotopic Determination of Food Source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Two Different Macroalgal Habitats in the Korean Coast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380-389.
68
Kang, D.H., D.J. Hwang, H.Y Soh, Y.H. Yoon, H.L. Suh, Y.G. Kim, H.C. Shin and K. Iida, 2003. Density Estimation of an Euphausiid (Euphausia pacifica) in the Sound Scattering Layer of the East China S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749-756.
69
Kang, J.H., Y.G. Kim, J.Y. Park, J.K. Kim, J.H. Ryu, C.B. Kang and J.H Park, 2014. Comparison of Fish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by Set Net at Hupo in Gyeong-Sang-Buk-Do, and Jangho in Gang-Wo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424-430.
10.5657/KFAS.2014.0424
70
Kang, K.R., Y.-K. Hyun and S.R. Lee, 2007. Variations of the Wind-generated Wave Characteristics around the Kyung-gi Bay,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251-261.
71
Kang, R.-S. and C.-H. Koh, 1999. Growth, Reproduction, Mortality, and Production of Laminaria japonica Areschoug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226-236.
72
Kang, S.K., J.H. Park and S.A. Kim, 2013. Size-class Estimation of the Number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Caught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uring the 1970s-1990s. Korean J Fish Aquat Sci, 46: 445-453.
10.5657/KFAS.2013.0445
73
Kang, Y.H., S.R. Park, J.H. Oak, J.A. Lee and I.K. Chung, 2009. Changes of Tissue N Content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algae on Intertidal Rocky Shores in Tongyeong Area due to Sewage Discharge. Korean J Fish Aquat Sci, 42: 276-283.
10.5657/kfas.2009.42.3.276
74
Kang Y.S., 2008. Seasonal Variation in Zooplankton Related to North Pacific Regime Shift in Korea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493-504.
10.5657/kfas.2008.41.6.493
75
Kim, C.K., K.I. Chang, K. Park and M.S. Suk, 2000. The South Sea Circulation of Korea Two-dimensional Barotrophic Model.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257-266.
76
Kim, C.S., H.C. Kim, W.C. Lee, S.J. Hong, D.W. Hwang, Y.S. Cho, J.H. Kim and S.Y. Kim, 201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nd an Evaluation of Trace Metal Pollution in Gomso Bay, Korea, 2011. Korean J Fish Aquat Sci, 50: 567-575.
77
Kim, C.-S., S.-H. Lee, Y.-T. Son, H.-K. Kwon, K.-H. Lee, Y.-B. Kim and O.-J. Jeong, 2006. Changes of Surface M2 Currents as Observed by HF Rada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Fourth Tidal Dyke Closing.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 37-48.
78
Kim, D.S., K.H. Kim, J.H. Shim and S.J. Yoo, 2007. The Effect of Anticyclonic Eddy on Nutrients and Chlorophy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280-286.
79
Kim, D.S., M.-K. Choi, H.-Y. Oh, K.H. Kim and J.-H. Noh, 2009. Estimate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Export Flux Using 234Th/238U Disequilibrium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uring Summe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9.
80
Kim, D.-W., K.-N. Han and Y.-J. Lim, 2003. Microstructure of Otoliths and Early Growth of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237-242.
81
Kim, G.B., D.-W. Hwang, J.-W. Ryu and Y.-W. Lee, 2005.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s of the Korea Peninsul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0: 204-212.
82
Kim, G.Y., D.C. Kim, S.J. Kim, Y.K. Seo, J.H. Jung and Y.E. Kim, 2000. Physical properties of Southeastern Yellow Sea Mud (SEYSM) Comparison with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mudbelts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335-345.
83
Kim, H.E. and C.H. Hong, 2008.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 Crackdown on Illegal Fisheries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41: 389-398.
10.5657/kfas.2008.41.5.389
84
Kim, H.W., Y.H. Kim, Y.R. An, K.J. Park and D.H. An, 2014. Seabird Distribution Patterns by Strip Transect in the Yellow Sea in Spring. Korean J Fish Aquat Sci, 47: 973-977.
10.5657/KFAS.2014.0973
85
Kim, H.Y., Y.N. Lim, S.H. Song and Y.H. Kim, 2016.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h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using Catch Distributions. Korean J Fish Aquat Sci, 49: 376-384.
10.5657/KFAS.2016.0376
86
Kim, J.B., D.S. Chang, Y.H. Kim, C.K. Kang and K.D. Cho, 2003.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Beam Trawl around Naro-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378-388.
10.5657/kfas.2003.36.4.378
87
Kim, J.B., J.Y. Kim, D.W. Lee and J.H. Choi, 2011. Feeding Habits of Bluefin Searobin Chelidonichthys spinosus around Jeju Island. Korean J Fish Aquat Sci, 44: 378-382.
10.5657/KFAS.2011.0378
88
Kim, J.B., J.I. Park, W.J. Choi, J.S. Lee and K.S. Lee, 2010.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in the Seomjin Estuary. Korean J Fish Aquat Sci, 43: 351-361.
10.5657/kfas.2010.43.4.351
89
Kim, J.B., J.I. Park and K.S. Lee, 2009. Seagrass Distribution in Deukryang Bay. Korean J Fish Aquat Sci, 42: 509-517.
10.5657/kfas.2009.42.5.509
90
Kim, J.B., J.I. Park, W.C. Lee and K.S. Lee, 2012. Seasonal Changes in the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of Zostera marina Populations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the Seomjin Estuar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65-75.
10.5657/KFAS.2012.0065
91
Kim, J.-B., C.-K. Kang, D.-S. Chang, Y.-H. Kim and K.-D. Cho, 2003. Fish Assemblages Collected using a Beam Trawl in a Sheltered Shallow Water of Doam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07-316.
92
Kim, J.B., J.-I. Park, W.-C. Lee and K.-S. Lee, 2015. Growth and Population Dynamics of Zostera marina Due to Changes in Sediment Composition in the Seomjin Estuary,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 43-52.
93
Kim, J.B., W.-C. Lee, D.-J. Kim, K.B. Seong, H.-G. Choi, W.-J. Choi, H.B. Hwang, S.J. Hong, H.C. Kim, S.-E. Park, J.H. Shim and C.-K. Kang, 2013. Food Habits of th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in the West Coast Estuaries of Korean Peninsula Determined by Using C and N Stable Isotope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206-213.
94
Kim, J.C., C.W. Ma and Y.H. Jung, 2015. Benthic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t the Tidal Flats in Chung-nam,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104-115.
10.5657/KFAS.2015.0104
95
Kim, J.H., H.-M. Eom, J.-K. Choi, S.-M. Lee, Y.-H. Kim and P.-H. Chang, 2015. Impacts of OSTIA Sea Surface Temperature in Regional Ocean Data Assimilation System.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69-379.
96
Kim, J.K., J.H. Ryu, J.B. Kim, W.C. Lee, H.C. Kim, S.Y. Moon and H.Y. Kim, 2015. Growth of Young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Eelgrass Beds of Gamak and Yeoja Bay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Korean J Fish Aquat Sci, 48: 920-928.
10.5657/KFAS.2015.0920
97
Kim, J.K., K.S. Woo, S.-H. Yoon and B.-C. Suk, 2007. Sedimentary Characters of the Core Sediments and Their Stratigraphy Using 87Sr/86Sr Ratio in the Korea Plateau,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328-336.
98
Kim, J.-Y., C.-H. Moon, M.-G. Yoon, C.-K. Kang, K.-R. Kim, T.H. Na, E.J. Choy and C.I. Lee, 2012.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Northwest Pacific.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292-302.
99
Kim, K.H., J.H. Cho and J.S. Lee, 1999. Processes and Fluxes of Uranium Removal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A Biogeochemical Approach.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88-197.
100
Kim, K.H., J.H. Cho and N.J. Park, 2000. Distributions and Pollution History of Heavy Metals in Nakdong Estuary Sediment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285-294.
101
Kim, S.-B. and K.-I. Chang, 2014. Calculation of Surface Heat Flux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Using Ocean Buoy Dat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169-179.
102
Kim, S.G., Y.H. Kang, T.-H. Kim and S.R. Park, 2016. Recovery Pattern and Seasonal Dynamics of Kelp Species, Ecklonia cava Population Formed Following the Large-scale Disturbance.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 103-111.
103
Kim, S.G., H.S. Kwak and J.C. Kang, 2002. Effects of Thermal Effluent from Nuclear Power Plant on Growth of Sea Squirt, Haiocynthia roretzi. Korean J Fish Aquat Sci, 35: 71-76.
104
Kim, S.G., H.S. Kwak, C.I. Choi and J.C. Kang, 2001.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by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Korean J Fish Aquat Sci, 34: 125-130.
105
Kim, S.H., 2010. Winter Occurrence Pattern of Chionoecetes opilio around Wangdol Reef in the East Sea near Uljin. Korean J Fish Aquat Sci, 43: 670-678.
106
Kim, S.H., J.H. Lee and H.S. Kim, 2011. A Survey of Shrimp Pot Fishery Bycatch and Discard in Funka Bay, Hokkaido, Japan. Korean J Fish Aquat Sci, 44: 397-402.
107
Kim, S.J., J.H. Yoon, M.R. Kim and M.G. Park, 2015. Semi-daily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the Dinoflagellates Dinophysis acuminata and Oxyphysis oxytoxoides and a Mixotrophic Ciliate Prey Mesodinium rubrum in Masan Ba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 151-157.
108
Kim, S.R., H.K. Cha, J.B. Lee, H.W. Lee, J.H. Yang, H.J. Baek and S.T. Kim, 2016.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off the Coast of Pohang,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367-375.
109
Kim, S.W., Y. Isoda and T. Azumaya, 2003.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the East Sea Using A Surface Mixed Layer Ecosystem Model. Korean J Fish Aquat Sci, 36: 178-186.
110
Kim, S.W., S. Saitoh and D.S. Kim,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Korean J Fish Aquat Sci, 35: 265-272.
111
Kim, T.-H. and I. Kim, 2014. Importance of Colloidal 210Pb and 210Po in Groundwater of Subterranean Estuar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125-130.
112
Kim, Y.B., Y.H. Kim, S.J. Lyu, K. Kim, B.H. Choi, 2004. Review on Monitoring Volume Transport through Measurement of Submarine Cable Voltages around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9: 73-81.
113
Kim, Y.D., Y.G. Gong, C.Y. Jeon, H.I. Song, M.S. Park, C.S. Lee, H.I. Yoo and Y.H. Kim, 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532-539.
114
Kim, Y.S., M.B. Shon and C.H. Kim, 2006.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Toxin Accumulation in Four Mussel Species Fed on Toxic Alexandrium tamarense. Korean J Fish Aquat Sci, 39: 49-54.
115
Kim, Y.H., and S.H. Huh, 1998.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arine Algal Community in the Vicinity of Yonggwang Nuclear Power Plant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1: 186-194.
116
Koh, B.-S., J.-H. Lee and J.-S. Hong, 1997.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31-41.
117
Kwon, D.H., Y.J. Kang, W.K. Kim and C.S. Lee, 2002. Population Dynamics of Corbicula (Corbicula) japonica Prime from Namdae Stream in Yangyang,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5: 686-695.
118
Kwon, H.K. and S.H. Lee,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 Mean Sea Level and Tide.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93-100.
119
Kwon, K.M., B.-J. Choi, S.-H. Lee, Y.-K. Cho and C.J. Jang, 2011. Coastal Current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the Yellow Sea in Summer Numerical Simulation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6: 155-168.
120
Kwon, K.Y., J.K. Kim, G.E. Hong, K.B. Seong, C.H. Lee and C.H. Moon, 2005.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s in the Namdaechon Estuar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8: 55-64.
121
Kwoun, C.H., and K.D. Cho, 2002. Numerical Model for Spreading of Cochlodinium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5: 568-577.
122
Kwun, H.J., and J.K. Kim, 2016. Re-identification of Two Tonguefish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Korean J Fish Aquat Sci, 49: 208-213.
123
Lee, C.I., K.D. Cho and S.W. Kim, 2003. Variation of Sound Speed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 of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170-177.
124
Lee, C.I., D.C. Kyu and S.W. Kim, 2003. Variation of Sound Speed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 of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170-177.
125
Lee, C.R., C. Park and C.H. Moon, 2004. Appearance of Cold Water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off Ulsan-Gampo area,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9: 51-63.
126
Lee, C.R., C. Park and C.H. Moon, 2004. Appearance of Cold Water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off Ulsan-Gampo area,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9: 51-63.
127
Lee, C.R., C. Park, S.R. Yang and Y.S. Sin, 2006.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 1-10.
128
Lee, D.B., C. Park, S.R. Yang and Y.S. Shin, 2007.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Around the Rainy Season in Asan Bay,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337-348.
129
Lee, D.K. and J.C. Lee, 2017.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of Autumn Low-salinity Water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207-218.
130
Lee, H.B., D.H. Kang, Y.J. Im and K.H. Lee, 2014.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Other Fishes in Asan Bay, Korea, estimated Hydroacoustic Survey. Korean J Fish Aquat Sci, 47: 671-681.
131
Lee, H.B., S.C. Yoon, Y.J. Lim, J.N. Kim, M.J. Kim and K.H. Choi, 2017. Distribution and Biomass Using Acoustic Method of the Squid Watasenia scintillans Near Dok-do, East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421-428.
132
Lee, H.W., J.H. Ryu, B.K. Hong, M.H. Sohn, Y.Y. Chun and J.K. Kim, 2010. Seasonal Variation of Ichthyoplankton off Dokdo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751-755.
133
Lee, H.W., J.H. Yang, M.H. Sohn, J.B. Lee, Y.Y. Chun, K.S. Hwang and D.W. Lee, 2013. Occurrence of Architeuthis sp. and Regalecus russellii in the East S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856-861.
134
Lee, J.C. and D.H. Kim, 2016. Observations of Bottom Currents in the Korea Strait. Korean J Fish Aquat Sci, 49: 393-403.
135
Lee, J.C., 2016. Water Mass Distribution and Currents in the Vicinity of the Hupo Bank in Summer 2010. Korean J Fish Aquat Sci, 49: 061-073.
136
Lee, J.-H., J.-S. Lee, Y.-G. Park, S.-G. Kang, T.S. Choi, B.-M. Gim and J.S. Ryu, 2014. Environmentally Associated Spatial Distribution of a Macrozoobenthic Community i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rn Area of the East Sea,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66-75.
137
Lee, J.W., C. Park, D.B. Lee and S.W. Lee, 2012.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95-111.
138
Lee, M.J., D.S. Kim, Y.O. Kim, M.H. Sohn, C.-H. Moon and S.H. Baek, 2016. Seasonal Phytoplankton Growth and Distribution Pattern by Environmental Factor Changes in Inner and Outer Bay of Ulsan,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 24-35.
139
Lee, S.-H., D.-S. Byun, B.-J. Choi and E.I. Lee, 2009. Estimation of the Surface Currents using Mean Dynamic Topography and Satellite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95-204.
140
Lee, S.-H., H.Y. Choi, Y.-T. Son, H.K. Kwon, Y.K. Kim, J.S. Yang, H.J. Jeong and J.G. Kim, 2003.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138-150.
141
Lee, S.H., H.K. Kwon, H.Y. Choi, J.S. Yang and J.Y. Choi,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I. Salinity Structure and Estuary Type.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255-265.
142
Lee, S.-H., H.-Y. Choi and H.-K. Kwon, 2001.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Due to Dike Gate Operation III. Tidal Modulation of Low-salinity Wate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 115-125.
143
Lee, S.I., J.H. Yang, S.C. Yoon, Y.Y. Chun, J.B. Kim, H.K. Cha, D.S. Chang and J.W. Kim, 2009.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Atka Mackerel, Pleurogrammus azonus (Jordan and Metz)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2: 633-641.
144
Lee, S.K., J.B. Lee, C.I. Zhang and D.W. Lee, 2007. Fish Reproduction Potential Indices in the Coastal and Offshore Ecosystem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0: 24-30.
145
Lee, S.W., C. Park, D.B. Lee and J.W. Lee, 2014. Effects of Freshwater Discharge on Plankton in Cheonsu Bay, Korea During the Rainy Seaso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41-52.
146
Lee, S.Y., C.J. Kwon and C.I. Choi, 2000. Distribution of Zostera (Zosteraceae) ana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3: 501-507.
147
Lee, S.Y., S.M. Lee, J.H. Kim and C.I. Choi, 2003. Phe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70-77.
148
Lee, Y.-W., B.-K. Khim and S.H. Kim, 2013. Exploration of Submarine Spring Along the Coastal Areas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178-185.
149
Lim, B.-J. and Y.-S. Chang, 2016. Development of Synthetic Regression Diagram for Analyzing Linear Trend of Sea Surface Height,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the Korean Marginal Sea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 67-77.
150
Lim, D.I., H.S. Jung and I.K. Um, 2002. Sedimentary Environments of Pre-Holocene Kanweoldo Deposit in Cheonsu Bay, 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32-42.
151
Lim, D.-I., I.-K. Um, S.-K. Jeon, J.-M. Yoo and H.-S. Jung, 2003.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151-163.
152
Lim, H.J., T.S. Lee, P.G. Cho, S.H. Back, S.G. Byun and E.H. Choi, 2011.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Sprat According to Clutch and Growth Comparing Diploid and Triploid Oysters in Off-bottom Culture for Tidal Flat Utilization. Korean J Fish Aquat Sci, 44: 259-266.
153
Lim, H.S. and J.W. Choi, 2005. Ecological Impact of the Dyke Construction on the Marine Benthos Community of the Oligohaline Youngam Lake. Korean J Fish Aquat Sci, 38: 172-183.
154
Lim, Y.N., H.Y. Kim and D.H. Kim, 2014. Predicting Changes in Fishing Conditions for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ased on Expansions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Korean J Fish Aquat Sci, 47:419-423.
155
Moon, D.Y., M.M. Jung, Y.R. An, S.G. Choi, B.S. Oh, Z.G. Kim, C. Lee, M.J. Kim and S.Y. Kim, 2009. Distribution and Strandings of Endangered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42: 657-663.
156
Myoung, S.H., T.W. Ban and J.K. Kim, 2016. Population Structure of Liparis tanakae (PISCES, Liparidae)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raits. Korean J Fish Aquat Sci, 49: 198-207.
157
Oh, B.G., J.W. Lee and H.B. Lee, 2002. Monthly Changes of Marine Benthic Algae and Community Structure at Gahakri,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5: 64-70.
158
Oh, C.W., 2010. Seasonal Bycatch Variations in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of Coastal Wa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69-77.
159
Oh, C.W., J.H. Na and C.W. Ma, 2003. Reproductive Bi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Latreutes planirostri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144-150.
160
Oh, C.W. and J.H. Choi, 2003. Population Dynamics and Reproductive Biology of Leptochela sydniensi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6: 646-653.
161
Oh, C.W. and I.J. Jeong, 2002. fisheries Biology of Shrimps in the South Western Waters of Korea -1. Species Composition of Catches and Spawning Season of Acetes sp. for the Korean Shrimp Fishery. Korean J Fish Aquat Sci, 35: 223-230.
162
Oh, J.C., S.K. Park, H.G. Choi and K.W. Nam, 2013.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878-885.
163
Oh, J.C., J.K. Ahn, C.D. Kim, J.B. Jeong and H.G. Choi, 2015. Seasonal Variations in the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n the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768-775.
164
Oh, K.H., I.C. Pang, E.E. Hofmann, Y. Kim, S.Y. Kim, Y.J. Park and K.S. Choi, 2002. Modeling Oyster Populations Dynamics -I. Effect of Available Food on Growth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5: 327-335.
165
Oh, S.J., C.H. Kim, H.K. Kwon and H.S. Yang, 2010.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South Sea of Korea in 2008. Korean J Fish Aquat Sci, 43: 715-722.
166
Park, B.S., J.-H. Joo, M.-K. Kim, J.-H. Kim, J.H. Kim, S.-H. Baek and M.S. Han, 2017. Development of EvaGreen Based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Toxic Dinoflagellate Pfiesteria Piscicida and Field Application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2: 31-44.
167
Park C., D.B. Lee, C.R. Lee, S.R. Yang and B.G. Jung, 2008. Variation in Planktonic Assemblages in Asan Bay During the Winter-Spring Bloom.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3: 308-319.
168
Park, H.-S., J.-H. Lee and J.-W. Choi, 2000.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Subtidal Area around Mokpo,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169-176.
169
Park, J.-I., J.-H. Kim and Y.K. Kim, 2017. Seagrasses of Dokdo, East Sea,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2: 199-204.
170
Park, G.H., K.Y. Kim, C.H. Kim and K.G. Kim, 2004.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t the Saemangeum Area. Korean J Fish Aquat Sci, 37: 202-208.
171
Park, J.I., K.S. Lee and M.H. Son, 2011. Growth Dynam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in the Nakdong Estuary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s. Korean J Fish Aquat Sci, 44: 533-542.
172
Park, J.-I., W. Li, J.B. Kim and K.-S. Lee, 2009. Changes in Productiv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41-47.
173
Park, J.Y., H.S. Kang, J.H. Kang, J.K. Kim, J.H. Ryu and D.S. Kim, 2013. Yearly Fluctuation in the Fish Species Composition of Shrimp Beam Trawls off Maemuldo, Korea, during 2007-2009. Korean J Fish Aquat Sci, 46: 619-625.
174
Park, K.-A., J.-E. Park, B.-J. Choi, D.-S. Byun and E.-I. Lee,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234-265.
175
Park, M.G., S.R. Yang, J.H. Shim, C.S. Chung, G.H. Hong, S.J. Pae and D.B. Yang, 2002. Is Nitrogen Uptake Rate by Phytoplankton below the Euphotic Zone in the Yellow Sea Considerable.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60-67.
176
Park, M.O. and Y.J. Lee, 2017. Variability of Contribution of Picophytoplankton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2: 77-87.
177
Park, S.K., B.Y. Kim, H.G. Choi, J.S. Oh, S.O. Chung, K.H. An and K.J. Park, 2013.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at Jinsanri, Tae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176-185.
178
Park, T.G., Y.R. An, D.Y. Moon, S.G. Choi and Z.G. Kim, 2010. Distribution of the Spotted Seal, Phoca largha, along the Coast of Baekryongdo. Korean J Fish Aquat Sci, 43: 659-664.
179
Park, Y.A., D.I. Lim, J.Y. Choi and Y.G. Lee, 1997.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idal Deposits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138-150.
180
Park, Y.C., H.J. Lee, J.W. Son and S.K. Son, 1998. Chemical Environment of Ocean Dumping Site in the Yellow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203-213.
181
Rho, T.K., T.S. Lee, S.R. Lee, M.S. Choi, C. Park, J.H. Lee, J.Y. Lee and S.S. Kim, 2007. Sources Identification of Anthropogenic Pb in Ulleung Basin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EastJapan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45-58.
182
Ryang, W.H., J.H. Jin, S.H. Jang, S.P. Kim, H.T. Kim, C.W. Lee, J.H. Chang and J.H. Choi, 2001. Geoacoustic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stratigraphic sequences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 81-92.
183
Ryu, S.O., H.S. You and J.D. Lee, 199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Intertidal Flats in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27-135.
184
Ryu, S.-O., J.-H. Chang and H.-Y. Choi, 2002.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 around Intake of Pyongtaek Power Plant,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247-256.
185
Ryu, S.-O., J.-H. Chang, H.-J. Lee, Y.-J. Jo and O.-I. Choi,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0-21.
186
Ryu, S.O., J.Y. Kim, H.J. Lee, Y.G. Cho and S.M. Ahn, 2003. Seasonal Changes of Tidal-flat Sediments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49-356.
187
Seo, I.S. and J.S. Hong, 2010.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510-520.
188
Seo, I.S. and J.S. Hong, 2010. Temporal Variation of the Macro-crustacean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521-531.
189
Seo, W.I., D.J. Yoo, S.G. Byun, Y.C. Kim, S.H. Lee, I.H. Yeon, K.H. Han, H.S. Yim and B.I. Lee, 2010.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Cottus hangiongensis. Korean J Fish Aquat Sci, 43: 46-53.
190
Seo, Y.K., D.C. Kim and S.C. Park, 2001. Characteristics of Velocity and Electrical Resistivity in Gassy Sediments Results of Mud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Inner Shelf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 249-258.
191
Seo, Y.S., C.W. Oh and A.R. Kim, 2014. Effect of the Bopyrid Isopod Argeia pugettensis on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Kuro Shrimp Argis lar. Korean J Fish Aquat Sci, 47: 413-418.
192
Shin, A.Y., D.S. Kim, T.W. Kang, J.H. Oh, J.M. Lee and J.-S. Hong, 2016. Seasonal Fluctuation of Meiobenthic Fauna Community at Keunso Tidal Flat in Taean,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 144-157.
193
Shin, D.-H., H.-I. Yi, S.-J. Han, J.-K. Oh and S.-J. Kwon, 1998. Transport Paths of Surface Sediment on the Tidal Flat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59-70.
194
Shin, I.C. and H.-I. Yi, 1998. Study of Environmental Stability of the East Sea by Foraminiferal Distribution.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234-248.
195
Shin, J.D., J.K. Ahn and Y.H. Kim, 2011. Structure of the Subtidal Marine Plant Community on the East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85-94.
196
Shin, Y.N., B.K. Khim, K. Ikehara, H.I. Yoon, Y. Kim and K.S. Woo, 2000. Occurrence of Diatom i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Northeastern East Sea (Sea of Japan) and its Paleoceanographic Change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305-319.
197
Shon, M.H., B.S. Yoon, J.H. Park, Y.M. Choi, J.B. Lee, H.W. Lee, H.K. Cha and J.H. Yang, 2014. Maturity and Spawning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255-263.
198
Son, Y.-T., S.-H. Lee, J.C. Lee and J.-C. Kim, 2003. Water Masses and Frontal Structures in Winter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27-339.
199
Sohn, M.H., B.S. Yoon, J.H Park, Y.M. Choi and J.H. Yang,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won Province,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945-959.
200
Song, J.N., S.K. Park, J.S. Heo, J.C. Oh, Y.S. Kim, H.G. Choi and K.W. Nam, 2013.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Spore Release and Growth of Lithophyllum yessoense and Hildenbrandia rubra. Korean J Fish Aquat Sci, 46: 296-302.
201
Song, K.D., D.H. Choi, Y. Lee, G.H. Hong, C.S. Chung, S.H. Kim and B.C. Cho, 1999. Responses of Bacterial Production and Enzymatic Activities to Ocean-dumping of Organic Wastes in the Euphotic Zone of the East Sea,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275-288.
PMC
202
Suh, M.C., G.H. Lee and H.W. Shon, 1998. A Geophysical Study on the Geotectonics and Opening Mechanism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 34-44.
PMC
203
Woo, H.J., J.-K. Oh, H.-Y. Kim, D.L. Choi and C.-W. Lee, 1997. Benthic foraminiferal communitie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14-20.
PMC
204
Woo, K.S., H.-S. Ji, L. Kim, J.N. Jeon, J.-S. Park, H.S. Park, D.S. Kim and C.H. Park, 2009.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Preliminary Stud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71-180.
PMC
205
Yang, J.H., H.W. Lee, J.B. Lee, H.K. Cha, S.T. Kim and B.S. Yoon, 2017. The Age and Growth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off Pohang. Korean J Fish Aquat Sci, 50:278-286.
PMC
206
Yang, J.H., S.C. Yoon, J.H. Park, B.S. Yoon, Y.M. Choi and J.B. Lee, 2013. Feeding Habits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in the Coastal Waters off Mukho, Gangwondo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168-175.
PMC
207
Yoo, D.G., G.Y. Kim, H.Y. Lee, Y.K. Seo, S.C. Park and D.C. Kim, 2004. Sediment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Inner Shelf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7: 159-169.
PMC
208
Yoo, D.J., K.H. Han, S.H. Lee, H.S. Yim, J.H. Hwang, J.H. Lee and K.W. Kang, 2008.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Korean J Fish Aquat Sci, 41: 363-370.
PMC
209
Yoon, S.C., J.H. Yang, J.H. Park, Y.M. Choi, J.H. Park and D.W. Lee, 2012.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379-386.
PMC
210
Yoon, Y.G., H.S. Sohn, K.J. Park, Y.M. Choi, S.H. Kim and J.W. Choi, 2017. Study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Common Dolphins Delphinus delphis in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406-412.
PMC
211
Yang, J.S., 1997. Vertical distributions of dissolved Cu and Ni in the central East S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117-124.
PMC
212
Yang, H.-S. and T.S. Lee, 1999. Hydrographic Analysis of Surface Water Using Radium Isotopes Signature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 in Summer.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305-311.
PMC
213
Yeon, I.J., M.Y. Song, H.J. Hwang, M.H. Sohn, J.B. Kim, Y.J. Im, Y.S. Kim, K.S. Kim and I.C. Bang, 2008. Population Structure of the Blue and Purple Types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from the West Sea of Korea Based on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AFLP Analysis. Korean J Fish Aquat Sci, 41: 94-101.
PMC
214
Yoo, Y.D., H.J. Jeong, J.H. Shim, J.Y. Park, K.J. Lee, W.H. Yih, H.K. Kweon, S.J. Pae, J.K. Park, 2002.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Phytoplankton Com.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129-139.
PMC
215
Yoo, J.-W., C.-S. Kim, M.-R. Park, H.-G. Lee, J.-H. Lee and J.-S. Hong, 2003.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ampler for the Assessment of Macrobenthos Community in Saemangeum,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285-294.
PMC
216
Yoo, J.-W., C.-S. Kim, M.-R. Park, H.-G. Lee, C.-G. Lee, J.-H. Lee and J.-S. Hong, 2004. Estimating the Size Effect on Relative Species Number in Macrobenthic Communit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9: 20-29.
PMC
217
Yi, H.H., Y.S. Shin, S.R. Yang and C. Park, 2007. Summer Dynamics of Phytoplankton Taxonomic Composition in a Coastal Estuarine System of Asan Bay.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2: 200-210.
PMC
218
Yoo, D.-G., C.-W. Lee, J.-Y. Choi, S.-C. Park and J.-H. Choi, 2003.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69-379. (East Sea (Sea of Japan) & Yellow Sea)
PMC
219
Yoo, J.W., J.S. Hong, S.R. Yang and K. Park, 2002. Nitrogen Budget Analysis Using a Box Model for Hajeon Tidal Flat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7: 257-266.
PMC
220
Yoo, J.-W., H.-P. Hong, J.-Y. Hwang, M.-S. Lee, Y.-W. Lee, C.-S. Lee and S.-D. Hwang, 2014. A Study on the Ecolog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 and Maturity of Artificial Reef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 8-34.
PMC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