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ticle

    Assess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s from the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Secondary Battery Industrial Complex: Focus on Environmental Indicators

    새만금 이차전지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 영향 평가: 주요 수질지표를 중심으로

    SUNG-HEE SEO

    서성희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s of the Saemangeum secondary battery industrial complex on the adjacent marine environment by analyzing …

    본 연구는 새만금 이차전지 산업단지의 조성과 운영이 인접 해역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MEIS)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동측정망 및 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기반으로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s of the Saemangeum secondary battery industrial complex on the adjacent marine environment by analyzing temporal trend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from 2022 to 2025. Data were obtained from the Water Quality Automatic Monitoring System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IS), focusing on two coastal areas: the Geum River Estuary and the Saemangeum sea area. Parameters analyzed included salinity, electrical conductivity (EC), pH, dissolved oxygen (DO), turbidity, chemical oxygen demand (COD), nitrate, phosphate, and cyanobacteria. At the Geum River Estuary, salinity, nitrate, phosphate, and cyanobacteria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study period (p<0.01). Salinity rose from 9.4 PSU in 2023 to 27.6 PSU in 2025, indicating the combined effects of limited seawater exchange and potential inputs of high-salinity wastewater from nearby industrial activities.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in the Saemangeum waters, where salinity (p=0.04) and phosphate (p<0.01)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Rising nutrient concentrations and cyanobacterial abundance suggest a growing risk of eutrophication and ecosystem disturbance. Despite the industrial complex being in its early operational phase,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measurable changes in coastal water quality. This underscores the urgent need for strengthened wastewa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expansion of long-term, integrated monitoring systems, including both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indicators. The results serve as a baseline for future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in the context of accelerating industrial development along Korea’s west coast.


    본 연구는 새만금 이차전지 산업단지의 조성과 운영이 인접 해역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MEIS)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동측정망 및 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기반으로 2022년부터 2025년까지 금강하구와 새만금 해역의 주요 수질항목에 대한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항목은 염분, 전기전도도(EC), pH, 용존산소(DO), 탁도,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질산성질소(Nitrate), 인산성인(Phosphate), 남조류로 구성되었다. 금강하구에서는 염분, 질산성질소, 인산성인, 남조류 농도가 3년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새만금 해역에서도 염분(p=0.04)과 인산성인(p<0.01) 농도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금강하구의 염분은 2023년 9.4 PSU에서 2025년 27.6 PSU까지 급증하였고, 새만금 해역 역시 평균 염분이 26 PSU 이상으로 유지되며, 고염도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조제로 인한 해수교환 제한과 더불어, 2025년부터 본격화된 산업단지 가동에 따른 고염도 폐수 유입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과 질소의 농도 증가, 그리고 남조류 농도 상승은 부영양화 가능성과 생태계 교란 위험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 운영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인접 해역에서 수질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었음을 실측자료 기반으로 입증하였으며, 이는 향후 해양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산업단지 인근 해역에 대한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수질 및 생물학적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Article

    Variability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Antarctic Coastal Waters

    서남극 반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일차생산력 변동 연구

    SUN-YONG HA, JUN-OH MIN, CHOROM SHIM AND BOYEON LEE

    하선용, 민준오, 심초롬, 이보연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WAP) is among the regions most rapid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Marian Cove, located …

    서남극 반도 연안은 기후 변화에 의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해양 생태계 중 하나이다. 마리안 소만은 남셰틀랜드 제도 킹조지섬 남서부에 위치한 해역으로 최근 …

    + READ MORE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WAP) is among the regions most rapid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Marian Cove, located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ing George Island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has recently exhibited pronounced spatiotemporal variability in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This review examines the key environmental drivers influencing these changes and explores their linkages to ongoing Antarctic climate chang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enhanced glacier melting and freshwater discharge have intensified water column stratification, resulting in low-salinity, high-turbidity conditions in the inner cove. These environmental changes have significantly reduce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ontrast, the outer cove retains clearer water conditions with greater light penetration, supporting considerably higher primary productivity. Wind forcing and variations in mixed layer depth play pivotal roles in regulating nutrient availability and light conditions, thereby influencing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During late summer, increased freshwater input further strengthens stratification, promoting the dominance of cryptophytes and picoplankton. These shifts in community structure facilitate microzooplankton proliferation and lead to a simplification of the food web, potentially reducing the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across trophic levels. This review provides quantitative evidence that climate-driven environmental changes directly affect phytoplankton productivity, community composition, food web structure, and biogeochemical cycling in Antarctic coastal ecosystems. The findings deliver crucial insights necessary for improving predictive capabilities and developing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polar marine ecosystems under rapidly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서남극 반도 연안은 기후 변화에 의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해양 생태계 중 하나이다. 마리안 소만은 남셰틀랜드 제도 킹조지섬 남서부에 위치한 해역으로 최근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의 시공간적 변동이 관측되어 본 종설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와 남극 기후 변화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빙하 융해 및 담수 유입의 증가는 수층의 성층화를 강화시키며, 내측 소만에서는 저염분‧고탁도 조건을 형성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생산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외측 소만은 상대적으로 맑은 수질 조건과 높은 광 투과도로 더 높은 일차생산력이 유지되는 경향을 보인다. 바람의 세기와 혼합층 깊이의 변동은 영양염의 가용성과 광 조건을 동시에 조절하며, 이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공간적 이질성을 유도하는 핵심 물리적 요인이다. 특히 늦여름에는 담수 유입 증가에 따른 성층화 심화로 인해 은편모조류와 초미소플랑크톤의 우점이 강화되며, 이는 미소동물플랑크톤의 증식 및 먹이망 단순화로 이어져 영양 단계 간 에너지 전달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기후 변화에 따른 남극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로, 향후 극지 해양 생태계 변동성을 예측하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 기반 보전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Articl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Dominant Species of the Macrozoobenthic Communties on a Soft Bottom of the Korean Coasts

    한국 연안 조하대 연성기질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분포와 우점종

    JIN-YOUNG LEE, HYUN-SIG LIM, JUNG-HO LEE AND HYUN-CHUL SHIN

    이진영, 임현식, 이정호, 신현출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biomass, diversity and dominant species of …

    우리나라 전 연안을 대상으로 조하대 연성기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밀도, 생체량, 종 다양도, 우점종의 시·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정점은 우리나라 서해와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biomass, diversity and dominant species of the macrozoo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soft bottom area of Korean coastal waters. A total of 167 sampling stations were set around west, south, east coas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round Jeju Island. During the spring and summer seasons from 2017 to 2022,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West Sea (Yellow Sea) and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Sea (Wando-Yeosu) in the odd-numbered years and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Yeosu-Busan), the East Sea and around Jeju Island in the even-numbered years. As a result, a total of 1,458 species/298.2 m2 was recorded with an mean abundance of 1,398 ind./m2 and mean biomass of 156.4 gWWt/m2. and the most dominant taxon of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was Annelida and biomass was others. Macrozoobenthic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in spring and summer of 2017~2022 increased over time in the middle part of the west coast of Korea. However, Jinhae Bay in the south coast showed poor species number, abundance,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ex. In the East Sea was relatively lower in the south part than in the northern and central parts. Around Jeju Island, the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were relatively richer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than in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The dominant species Heteromastus filiformis (Polychaeta) was widely distributed along coasts of West Sea (Yellow Sea) and South Sea, Scoletoma longifolia (Polychaeta) was distributed along the coast of East Sea, and Theora lata (Bivalve) occurred mainly in the inner bay of the West Sea (Yellow Sea) and South Sea of Korea.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of surface sediments.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characteristics of macrozoobenthic community in each coastal area and each administrative area of Korea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policy making and for studying the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due to global environment changes.


    우리나라 전 연안을 대상으로 조하대 연성기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밀도, 생체량, 종 다양도, 우점종의 시·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정점은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 동해, 제주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도록 167개 정점을 설정하였으며, 2017~2022년 동안 홀수 해는 서해와 남해 서부(완도~여수), 짝수 해는 남해 동부(여수~부산)와 동해, 제주를 대상으로 봄철과 여름철에만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1,458종/298.2 m2, 평균 서식밀도 1,398 ind./m2, 평균 생체량 156.4 gWWt/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종수와 서식밀도의 최우점 분류군은 환형동물이었고 생체량은 기타 분류군이었다. 우리나라 전 연안의 종수와 서식밀도는 서해 중부에서 조사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남해는 진해만에서 빈약한 저서동물상을 보였다. 또한 동해는 북부와 중부보다 남부에서의 저서동물 군집이 상대적으로 더 빈약하였으며, 제주 해역은 서부와 동부에 위치한 정점들보다 북부와 남부에 위치한 정점들의 종 다양성과 밀도 등이 더 풍부하였다. 주요 우점종인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는 서해와 남해의 연안을 따라 넓게 분포하였으며, 긴자락송곳갯지렁이(Scoletoma longifolia)는 주로 동해 연안에서 출현하였고 아기반투명조개(Theora lata)는 서해와 남해의 내만에서 출현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의 조하대 연성기질의 대형저서동물 시·공간분포는 퇴적환경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해역별, 행정구역별 대형저서동물의 분포 결과들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책수립과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저서동물의 변동을 연구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Articl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atches collected by a Bottom Trawl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ju Island in Summer 2020

    여름 제주도 남서부해역 저층 해양생물 종조성과 분포

    DAE-JIN KIM, HO YOUNG SOH, SEONGGIL GO AND KYUNGHWAN LEE

    김대진, 서호영, 고성길, 이경환

    To documen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marine organisms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ju Island of Korea, a bottom trawl …

    여름 제주도 남서부 해역 연근해 저층 해양생물 종조성과 분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2020년 7월과 8월 저층 트롤을 이용하여 어획 시험 조사를 수행하였다. …

    + READ MORE
    To documen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marine organisms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ju Island of Korea, a bottom trawl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20. The catches were composed total 37 species, 1,026 individuals and 180,539 g in biomass. The Lophius litul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ju Island based on the catch biomass. The species composi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sulting from correspondence analysis (CA). Group 1 (St1, St3, St5), the shallowest depth area, was dominated by Lophius litulon and Liparis tanakae. Group 2 (St2), the middle depth area, was dominated by Zenopsis nebulosi, Trachurus japonicus, and Solenocera melantho. Group 3 (St4), the deepest depth area, was dominated by Lophius litulon, Zeus faber and Loligo edulis. We concluded that in the southwestern bottom area off Jeju Island, the total biomass of marine organisms decreases with decreasing latitude and increasing depth, and that coastal areas at approximately 90 m depth exhibit higher biomass compared to offshore areas (≥100 m).


    여름 제주도 남서부 해역 연근해 저층 해양생물 종조성과 분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2020년 7월과 8월 저층 트롤을 이용하여 어획 시험 조사를 수행하였다. 어획된 개체는 총 37종, 1,026개체, 180,539 g의 생물량이 어획되었다. 어획된 어종 중 생물량을 기준으로 황아귀(Lophius litulon)가 제주도 남서부 해역에서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정점별 종 구성은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 CA)을 통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수심이 가장 얕은 그룹 1(St1, St3, St5)은 황아귀와 꼼치(Liparis tanakae)가 우점하였다. 중간 수심 해역인 그룹 2(St2)는 민달고기(Zenopsis nebulosi),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대롱수염새우(Solenocera melantho)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이 가장 깊은 그룹 3(St4)은 황아귀, 달고기(Zeus faber), 창꼴뚜기(Loligo edulis)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학지수를 통해 제주도 서남부 저층 해역의 해양생물은 위도가 낮고 수심이 깊을수록 총 생물량은 감소하며 외해(≥100 m) 보다 수심 90 m내외의 연안에서 생물량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COLLAPSE
    31 August 2025
  • Newsletter

Journal Informaito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NRF
  • KOFST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crosscheck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